분류 전체보기 (94) 썸네일형 리스트형 SOLID SRP - Single responsibility principle - 하나의 클래스는 하나의 책임 - 변경이 있을 때 파급 효과가 적어야 함 OCP - Open/closed principle - 확장에는 열려 있으나 변경에는 닫혀 있음 - 다형성 활용해도 OCP 원칙을 지킬 수 없음 - 객체 생성하고 연관관계를 설정해주는 설정자가 필요하며 Spring Container가 이를 수행해줌 LSP - Liskov substitution principle - 프로그램 객체는 하위 타입의 인스턴스로 바꿀 수 있음 ISP - Interface segregation principle - 특정 클라이언트를 위한 인터페이스를 분리 - 대체 가능성이 높아지고 명확해지는 장점이 있음 DIP - Dependency inve.. React Native의 markup 1. View를 사용 - 로 마크업을 만든다. 2. style을 활용 - 웹과 유사하게 스타일을 만들 수 있다. - styleSheet를 제공하며 CamelCase를 따른다. - flexbox를 활용하는데 웹과 거의 유사하다. - 픽셀의 개념이 있지만 비율로 조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. 3. 컴포넌트를 쓰자 - React Native 팀은 진짜 기본적인 컴포넌트들을 제공한다. - 더 필요하다면 오픈소스 뒤지거나, expo에서 찾도록 한다. import { StatusBar } from 'expo-status-bar'; import React from 'react'; import { StyleSheet, Dimensions, Text, View, ScrollView } from 'react-native'; .. 좋은 객체지향이란? 객체지향은 객체의 모임을 통해 유연하고, 변경이 용이한 구조로 개발하는 방법론이다. 추상화 - 불필요한 코드를 제거하고 중요한 부분을 살림 - 대표적으로 사물간의 공통점을 취하는 일반화가 있음 - 자동차의 공통점 move를 추상화한 사례 public abstract class Car { public abstract void move(); } public class FastCar extends Car{ @Override public void move() { System.out.println("빠르게 달립니다."); } } public class SnowCar extends Car { @Override public void move() { System.out.println("겨울에 잘 달립니다."); } }.. 도커 컴포즈 도커 컴포즈 - 텍스트 파일에 시스템 구축 명령어들을 정리해서 시스템을 한 번에 시작 및 폐기 - Dockerfile은 이미지 만드는 용이며, 도커 컴포즈는 볼륨과 네트워크도 구성 가능 - 쿠버네티즈는 여기서 한 층 들어가 컨테이너 관리까지 가능 설정 파일 - docker-compose.yml 파일을 사용 - 정의 파일은 한 폴더에 하나만 존재할 수 있음 실습 services: db: # We use a mariadb image which supports both amd64 & arm64 architecture image: mariadb:10.6.4-focal # If you really want to use MySQL, uncomment the following line #image: mysql:8.0.. 도커 허브 도커 허브 - 이미지를 공유할 수 있는 원격 저장소이다. - 도커 팀에서 공식적인 이미지를 제공하기도 한다. - 아래 이미지처럼 레포지토리를 만들 수 있다. 1. 태깅 docker tag ac826143758d tmddnr3163/my_collection:1 - 원래 이미지 이름을 버리고 태그로 바꾸고 복제 - 주소/레포명:버전 2. 등록 docker push tmddnr3163/my_collection:1 컨테이너 개조 컨테이너 개조 - 공식 배포되는 버전을 입맛에 맞게 수정 - 파일 복사 및 마운트를 활용하는 방법과 리눅스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이 존재 docker exec -it apaThree /bin/bash - bash 쉘 실행, 이때 bash가 돌고 있으므로 아파치가 잠시 멈추게 됨 - 또한, bash는 컨테이너 내부 이므로 도커 명령어를 사용하려면 exit를 해야함 컨테이너로 이미지 만들기 이미지 - commit 커맨드 활용 - Dockerfile 스크립트 작성 후 build commit 커맨드 활용 docker run --name apaThree -d -p 8082:80 httpd - 오늘도 아파치 컨테이너 등장 docker commit apaThree apa_img - 이미지 생성 Dockerfile 스크립트 작성 후 build FROM httpd COPY index.html /usr/local/apache2/htdocs - Dockerfile 작성 docker build -t apa_img2 /Users/sean/documents/apa_folder - 재료 폴더 경로를 기입해주면서 이미지 빌드 도커 마운트 마운트 - 연결하다는 의미 그 자체로 대상을 연결하여 OS 또는 소프트웨어 관리하에 두는 일을 말함 - 데이터 퍼시스턴시를 유지 바인드 마운트 - 기존의 디렉터리를 컨테이너에 마운트하는 방식 - 간단하지만 OS에 따라 영향을 받고 의존성 문제가 발생할 수 있음 - 파일을 직접, 자주 편집할 경우에 사용 볼륨 마운트 - 도커 엔진이 관리하는 영역 내에 만들어진 볼륨을 컨터이너에 디스크 형태로 마운트 - 복잡하지만 OS에 영향을 받지 않고 환경도 도커 엔진내에서 컨트롤 가능 - 백업이 까다로움 - 마운트 되기전에 볼륨을 먼저 생성하는 것이 좋음 실습 (바인드 마운트) docker run --name apaTwo -d -p 8083:80 -v /Users/sean/test:/usr/local/apache2/h.. 이전 1 ··· 7 8 9 10 11 12 다음