728x90
- 서비스는 파드를 안정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묶음이다.
- 포트를 지정할 수 있다.
apiVersion: v1
kind: Service
metadata:
name: fleetman-webapp
spec:
ports:
- name: http
port: 80
nodePort: 30080
selector:
app: webapp
release: "0"
type: NodePort
- 앞에 만든 파드를 서비스로 연결
- type이 여러개가 있는데, CusterIp는 내부에서만 쓴다는 얘기 (브라우저 접근 x), NodePort는 외부에 노출이 가능한 옵션
마지막으로 LoadBalancer는 클라우드 환경에서 쓰는 옵션
C:\Users\tmddn\OneDrive\바탕 화면\kubernetes>kubectl describe svc fleetman-webapp
Name: fleetman-webapp
Namespace: default
Labels: <none>
Annotations: <none>
Selector: app=webapp,release=0
Type: NodePort
IP Family Policy: SingleStack
IP Families: IPv4
IP: 10.102.249.45
IPs: 10.102.249.45
Port: http 80/TCP
TargetPort: 80/TCP
NodePort: http 30080/TCP
Endpoints: 10.1.0.34:80
Session Affinity: None
External Traffic Policy: Cluster
Events: <none>
- 만약 무중단 배포를 하려고 하면, 파드 2개를 만들어 놓고 서비스에 연결된 selector 정보를 변경
- 명령어로 연결된 Selector 확인
300x250
'Infra > 쿠버네티스 입문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쿠버네티스 입문 (6) - 디플로이먼트 (0) | 2023.12.13 |
---|---|
쿠버네티스 입문 (5) - 레플리카세트 (0) | 2023.12.13 |
쿠버네티스 입문 (3) - 파드 (0) | 2023.12.11 |
쿠버네티스 입문 (2) - 환경 세팅 (1) | 2023.12.05 |
쿠버네티스 입문 (1) (1) | 2023.12.05 |